지속가능한 캠퍼스
DEI
[SDG 17.4.4] 지속가능성 문해력 Sustainable Literacy
Views 421
|2024.11.22
#SDG 17.4.4 지속가능성 문해력 Sustainable Literacy
▣ 지속가능성 문해력
■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 지속가능성 인식 개선과 방향성 수립
고려대학교에서는 교내 구성원의 지속가능성 인식 개선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를 위하여 개발 중인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는 본교 구성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수준 파악은 물론, 향후 지속가능성 관련 사업 진행의 방향성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 개발 일정
◆ 주요 제작 내용 및 세부 사항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의 주요 내용 및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주요 제작 내용
1. 교내 구성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도 파악
- [Earth System], [Human Welfare], [Levers of Opportunity]로 카테고리를 나누어 테스트 진행
- 총 25문항(객관식 23문항, 주관식 2문항(점수 미반영))
2. 실제 참여 현황 및 관심도 파악
- 소속에 따른 차별 질문 진행 (교직원/학생)
◇ 세부 제작사항
1. 한글/영문 버전으로 제작해 전체 구성원의 인식 조사 실시
2. 배너 이미지 제작을 통한 홍보 실시 ※관련 자료는 해당 링크에서 확인 가능
3. 설문조사 결과 도출 이미지 제작
◆ 주요 결과 및 세부사항
2024학년도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관련 자료는 해당 링크에서 확인 가능
◇ 주요 결과
1. 참여 정보
2. 전체 평균 점수 : 84.53점
3. 정답률 : 85.37%
◇ 세부 결과사항
1. 구성원별 점수 구역별 분포도
2. 기타 의견
- 분리배출 시행 필요 (64회)
- 학교의 에너지 효율 개선과 구성원의 에너지 절약 노력 필요 (39회)
- 지속가능성 교육 강화 (34회)
- 텀블러 사용 장려 및 텀블러 세척기 확대 (29회)
- 다회용기 활성화 (33회) 등
고려대학교 지속가능원은 매년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를 시행하고, 인식 개선을 위한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기반 자료로서 이를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고려대학교 지속가능원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링크드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해당 결과를 알려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알릴 것이다.
▣ 지속가능성 문해력
■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 지속가능성 인식 개선과 방향성 수립
고려대학교에서는 교내 구성원의 지속가능성 인식 개선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를 위하여 개발 중인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는 본교 구성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수준 파악은 물론, 향후 지속가능성 관련 사업 진행의 방향성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 개발 일정
기획 및 준비 | 2024년 9월 ~ 11월 |
조사 실시 | 2024년 12월 12일 ~ 22일 (약 2주간) |
결과 도출 | 2024년 12월 ~ 2025년 1월 |
◆ 주요 제작 내용 및 세부 사항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의 주요 내용 및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주요 제작 내용
1. 교내 구성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도 파악
- [Earth System], [Human Welfare], [Levers of Opportunity]로 카테고리를 나누어 테스트 진행
- 총 25문항(객관식 23문항, 주관식 2문항(점수 미반영))
2. 실제 참여 현황 및 관심도 파악
- 소속에 따른 차별 질문 진행 (교직원/학생)
◇ 세부 제작사항
1. 한글/영문 버전으로 제작해 전체 구성원의 인식 조사 실시
2. 배너 이미지 제작을 통한 홍보 실시 ※관련 자료는 해당 링크에서 확인 가능
3. 설문조사 결과 도출 이미지 제작
◆ 주요 결과 및 세부사항
2024학년도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관련 자료는 해당 링크에서 확인 가능
◇ 주요 결과
1. 참여 정보
대상 | 고려대학교 학생 및 교직원 |
참여 인원 | 576명 (학생 451명, 교직원 125명) |
방법 | 구글폼 설문조사 |
2. 전체 평균 점수 : 84.53점
3. 정답률 : 85.37%
정답률 | |
Earth System | 82.16% |
Human Welfare | 87.57% |
Levers of Opportunity | 86.53% |
◇ 세부 결과사항
1. 구성원별 점수 구역별 분포도
학생 | 교원 | 직원 | |
100-95 | 104 | 17 | 22 |
94-90 | 105 | 10 | 12 |
89-85 | 102 | 6 | 12 |
2. 기타 의견
- 분리배출 시행 필요 (64회)
- 학교의 에너지 효율 개선과 구성원의 에너지 절약 노력 필요 (39회)
- 지속가능성 교육 강화 (34회)
- 텀블러 사용 장려 및 텀블러 세척기 확대 (29회)
- 다회용기 활성화 (33회) 등
고려대학교 지속가능원은 매년 지속가능성 문해력 조사를 시행하고, 인식 개선을 위한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기반 자료로서 이를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고려대학교 지속가능원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링크드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해당 결과를 알려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알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