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캠퍼스
DEI
교직원 및 학생 모두를 위한 정신 건강 지원 서비스 Mental Health Support for Both Staff and Students
Views 56
|2024.12.31
고려대학교에서는 학생, 교직원 등 교내 구성원의 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수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교직원을 위한 정신건강 지원
■ KU마음치유: 직원심리상담 전문상담서비스 프로그램
고려대학교는 본교 직원들의 정신 건강을 위해 직원심리상담 프로그램 "KU마음치유"를 운영하고 있다. 상담을 신청하는 직원 개인이 언제든 신청할 수 있으며, 1인당 연 3회까지 무료로 상담을 진행함으로써 직원의 심리적 문제 해결 및 직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개인이 추가 상담을 희망할 경우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계속해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고려대학교 포털 공지사항을 통해 전 직원에게 해당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홍보함으로써 많은 직원들이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 |
▲ 고려대학교 포털 내 KU마음치유 서비스 홍보 |
또한 고려대학교는 「직원인사규정」 제61조(고충처리) ~ 제64조(불이익 처분 결정서의 교부)에 따라 직원은 근무조건 또는 직원관리 기타 신상문제에 관하여 언제든 고충처리 및 상담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학교는 면담 및 고충처리위원회 등 정당한 절차를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고충을 해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교는 구성원들의 업무 내외적인 고충을 해결하고 정신 건강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직원인사규정」
1984. 1. 1 제정
~ 2022. 11. 1 일부개정 2023. 3. 1 일부개정 제61조 (고충처리)
직원은 누구나 근무조건 또는 인사관리 기타 신상문제에 관하여 인사상담이나 고충의 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제62조 (고충처리위원회) ① 제61조의 규정에 의하여 청구된 고충을 처리하기 위하여 고충처리위원회(이하 "처리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② 처리위원회는 노사를 대표하는 3인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위원은 총장이 위촉한다. ③ 처리위원회의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중임하게 할 수 있다. ④ 처리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 중 선임자가 되며, 회의의 소집·진행·의결 등은 일반 관례에 따른다. 제63조 (고충의 심사·처리 등) ① 처리위원회는 고충심사의 청구를 접수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회의를 소집하여 이를 심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처리대책을 강구한다. ② 처리위원회는 고충의 심사에 있어서 필요한 때에 심사청구자 또는 심사청구의 원인이 된 관계자를 회의에 출석하게 하여 진술을 들을 수 있다. ③ 고충의 심사·처리 결과는 원칙적으로 이를 서면으로 심사청구자에게 통고한다. 제64조 (불이익 처분 결정서의 교부) 직원에게 대하여 신분상 또는 급여상의 불이익 처분을 결정한 때에는 그 사유를 기재한 결정서를 교부한다. 다만, 본인의 원에 의한 휴직 또는 면직처분은 그리하지 아니한다. |
▲ 고려대학교 「직원인사규정」 제61조(고충처리) ~ 제64조(불이익 처분 결정서의 교부) |
■ 고려대학교구로병원 '병원 행복센터' 운영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Hospital Happiness Center'
2022년부터 고려대학교 교수 및 직원의 육체적, 심리적 번아웃 예방과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정신·심리 상담 및 심리교육을 지원하는 '병원 행복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는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고려대학교 근무 교수 및 직원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 |
|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행복센터 개소식 | |
News Click Here |
Youtube Click Here |
■ 마음건강 연구소 운영(유료) 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 Operations (Paid) Click Here
임상심리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소로서 심리학 전문 지식과 풍부한 임상, 상담 경험을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근무 교수 및 직원들을 대상으로 심리치료, 상담, 평가, 코칭, 자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심리 서비스의 효과 등에 관하여 연구하는 고려대학교 부설 연구소이자 전문 심리상담기관이다.
내용 | |
---|---|
개인심리치료 | 고려대학교 교직원이 이용가능하며, 우울, 불안, 공황 등 다양한 정신 건강 영역에서의 개인 심리치료 서비스 (인지행동치료, 불면증 행동치료, 정신재활상담, 인지재활훈련 등) |
인지행동치료 | 고려대학교 교직원이 이용가능하며, 사회불안장애 극복을 위한 치료 서비스 |
애도상담 | 고려대학교 교직원이 이용가능하며, 사별 이후 상실의 고통을 딛고 내 삶을 회복하도록 돕는 애도상담 |
부부·커플치료 | 보다 친밀하고 성숙한 부부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치료 |
정신사회재활 | 조현병, 조울병, 우울증, 기타 정신증 |
![]() |
▲ KU마음건강연구소 웹페이지 |
■ 의과대학 학생행복센터 (무료) College of Medicine Student Happiness Center (Free) Click Here
의대생과 대학원생, 전공의, 고려대학교 근무 교수 및 직원을 대상으로 학업 및 진로, 학교생활 및 직장생활 적응, 대인관계, 성격, 심리건강 등 일상에서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 개인상담과 다양한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내용 | |
---|---|
개인상담 | 학업, 진로, 적응, 대인관계, 성격, 정서, 행동/습관, 가족/경제, 실존, 성 |
심리검사 | 정신건강, 성격, 대인관계, 학업, 진로/직업 등 |
월별 행복 프로그램 | 마음건강, 스트레스 관리, 심리 적응, 감정 탐색, 회복탄력성, 대인관계 향상, 학습능력 향상 등 |
상담시간 | 평일 08:30 ~ 17:30 (협의 후 점심 및 저녁시간 이용 가능) |
고려대학교 근무 교수 및 직원 모두가 상기 프로그램에 참여 가능하다.
■ 스트레스 관리와 심리적 안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무상 지원 Free application support for stress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Click Here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는 의대생 및 고려대학교 근무 교수 및 직원의 스트레스 관리와 심리적 안정지원을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을 1년간 무료로 구독할 기회를 제공한다.
![]() |
▲ 스트레스 관리와 심리적 안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무상 지원 |
▣ 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지원
■ 학생상담센터
학생상담센터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보다 성숙하고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대인관계·학업·진로·성격·심리 및 정서적 어려움 등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잠재력과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4학년도 기준, 학생상담센터 심리상담 수혜자 수는 4,721명이며 수혜자 건수(시간수)는 10,390건에 달한다. 평균 만족도는 4.67점으로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심리검사 및 상담 | 개인상담 | - 전문상담자와 1:1 대화를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 - 주 1회 50분씩, 최대 12회 가량 진행 |
집단상담 | - 전문상담자 및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또래와 서로 의견을 교환해 가며 도움을 주고받는 과정 - 주제: 대인관계 능력 향상, 정서조절 기술훈련, 불안·스트레스 관리, 행복 증진 등 |
|
심리검사 | - 성격, 정서, 적응, 적성 및 진로탐색 등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검사를 통해 자신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함 - 성격 및 정서이해: MMPI-2, HTP, SCT, Rorshach, TAT, MBTI, TCI - 지능 및 진로탐색: K-WAIS_IV, STRONG 직업흥미검사Ⅱ - 정신건강 관련 검사 : CES-D, 한국형 정신건강 척도 |
이용 방법 |
---|
센터 방문 혹은 온라인 접수 ▶ 신청서 작성 ▶ 심리검사 및 상담 예약 ▶ 상담 및 검사 해석 |
▣ 모두를 위한 정신건강 지원
■ 인권·성평등센터
인권·성평등센터는 전 구성원에게 부여된 성적자기결정권을 포함한 인권을 보호하고, 침해예방 및 피해구제를 위하여 설치되었다. 구성원의 인권과 성인지 감수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을 제공하고, 권리침해에 대하여 즉각적인 대응과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한 인권 존중과 성평등 대학문화 및 교육·연구환경 조성을 위하여 누구든지 차별받지 않고, 개인의 존엄과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캠퍼스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
운영 시간 | 운영 내용 |
학기 중 평일 09:00 ~ 17:30 방학 중 평일 10:00 ~ 17:00 |
• 기본권리가 침해되어 피해에 대한 해결 방안 논의 • 인권과 성평등 교육에 관한 운영 문의 등 |
상담 절차 | |
방문신청 ▶ 신청서 작성 ▶ 시간 예약 ▶ 센터 방문 ▶ 상담 개시 | |
전화신청 ▶ 시간 예약 ▶ 센터 방문 ▶ 신청서 작성 ▶ 상담 개시 | |
온라인신청 ▶ 신청서 작성 ▶ 센터에서 전화 연락 ▶ 센터 방문 ▶ 상담 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