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ow

지속가능한 캠퍼스

SDG별 교내 주요 성과

고려대, 복잡한 OLED 제조를 간단하게…새로운 단일분자 소재 개발

Views 3

2025.08.06

  • SDGs

    9.산업,혁신,사회기반시설(SE)

고려대 이예서 석사과정(제1저자), 김하연 석박통합과정(제1저자), 고려대 첨단분자과학연구소 조민주 교수(교신 저자), 화학과 박성남 교수(교신 저자), 화학과 최동훈 교수(교신 저자)

고려대 화학과 최동훈 교수 연구팀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분자 엑시플렉스 호스트’ 기반의 차세대 신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본 연구 성과는 재료 과학 분야의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19.0, JCR 상위 4.5%)’ 온라인에 지난달 28일(월) 게재됐으며, 관련 기술은 지난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됐다.

일반적으로 고성능 OLED 구현을 위해서는 △도너 △억셉터 △발광체 세 가지를 정밀하게 조합한 엑시플렉스 기반 발광층이 필요하며, 이들을 동시에 혼합해 박막을 형성하고 각각의 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해야 하는 복잡한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식은 대량 생산이나 제품 간 성능 편차 등의 한계를 지닌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너와 억셉터의 역할을 하나의 분자 안에 모두 통합한 ‘단일분자 엑시플렉스 호스트 소재(TIO, Two-in-One Host)’를 새롭게 설계했다. 이 분자를 사용하면 발광층 구성에 필요한 소재가 기존 3종에서 2종으로 줄어들어, 공정이 훨씬 간단해진다. 실제로 이 소재를 적용한 OLED 소자는 기존 대비 약 30% 향상된 성능을 기록하며, 구조의 단순화와 성능 개선을 동시에 달성했다.

연구팀은 이 분자의 작동 원리를 더욱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첨단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과 정밀한 실험 분석을 병행했다. 그 결과, 소자 간 성능 편차가 매우 작아 대량 생산에도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OLED 제조 방식의 구조적 한계를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제시한 것”이라며, “다층·다성분으로 구성된 기존 소자를 단순화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 설계 개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대형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전자 기기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이 기대된다. 또한, 본 기술은 고려대 연구진이 처음부터 끝까지 독자적으로 개발한 ‘순수 국내 기술’로, 국가 핵심 기술 자립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이공계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그리고 LG디스플레이-고려대학교 산학협력센터의 산학 인큐베이션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