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ow

지속가능한 캠퍼스

SDG별 교내 주요 성과

고려대-RE100협의체, ‘2024년 RE100 기술 전략 컨퍼런스 개최’

Views 189

2024.04.04

  • SDGs

    3.건강과웰빙(S) / 7.모두를위한깨끗한에너지(SE)

고려대학교와 한국RE100협의체가 글로벌 기후 대응 및 통상 연계의 동향을 짚어보고, 국내 기업들의 RE100 이행 현황과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RE100 기술 전략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4월 4일 서울양재 aT센터 그랜드홀에서 진행된 ‘글로벌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2024년 RE100 기술 전략 컨퍼런스’에서는 기조연설로 김성우 소장(김앤장 환경에너지연구소)이 연사로 나서 글로벌 기후 대응에 따른 통상 이슈와 국내 기업 대응 전략에 대해 발표하였다.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의 차성수 국장의 경기도 RE100 추진성과 및 2024년 추진 계획에 대한 발표 또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세션에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지원정책과 RE100 지원 정책(한국에너지공단 김강원 실장) △EU의 탄소국정조정제도의 세부 지침 및 재생에너지 가이드라인 동향(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신서린 선임연구원)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두 번째 세션에는 △글로벌 태양광 기술 동향 및 RE100 대응 방안(고려대학교 홍근기 교수) △대만 사례를 통해서 본 국내 풍력 발전의 RE100 대응 방안(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상준 교수)이 다뤄졌다. 

세 번째 세션에는 △국내외 RE100 이행 주요 트랜드 분석(한국RE100협의체 정택중 의장) △국내 대기업의 탄소중립 관련 투자 및 수행 사례(현대차증권 조동민 팀장) △재생에너지 수급 상황에 따른 PPA 이슈 분석(SK E&S 박영욱 팀장) △RE100 이행 사례 및 제도개선 방향(아모레퍼시픽 홍수정 팀장)에 대해 발표가 진행됐다.

이번 RE100 기술 전략 컨퍼런스를 기획하고 준비한 한국RE100협의체 정택중 의장은 “이번 RE100 컨퍼런스는 기후 위기 대응과 기업들의 통상 이슈 대응을 위한 글로벌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의 부족한 재생에너지 시장 상황에서 어떻게 RE100 이행에 대응할 것인가를 여러 전문가를 통해 분석해 보고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