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캠퍼스
SDG별 교내 주요 성과
고려대 구로병원, 서울시의회와 의료 현장 AI 기술 활성화 방안 모색
Views 1
|2025.07.25
-
SDGs
3.건강과웰빙(S) / 10.불평등감소(S)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 실험실 구축사업단은 어제 24일(목) 서울특별시의회 AI경쟁력강화 특별위원회와 본원에서 간담회를 열어 국내 의료 현장에서 실제로 검증된 인공 지능(AI) 기술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모색했다고 오늘 25일(금)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병원의 정밀 의료 데이터를 민간과 연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과 병원–기업 간 공동 임상 플랫폼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핵심 과제로 부각됐다. 아울러 의료 기기 인허가 절차의 현실화 등 실무 중심의 정책 개선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특히 △고령층 △장애인 △임산부 △다문화 가정 등 의료 접근성이 낮은 사회적 약자 계층을 위한 AI 기술의 공공적 활용 가능성이 주요 논의로 다뤄졌다. AI 진료보조모델은 표준화된 진료뿐 아니라 언어·인지·이동 제약이 있는 환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서울특별시의 '약자와의 동행' 정책과도 깊은 연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산모 대상 AI 조기 진단 기술과 출산 후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등은 여성 생애 주기별 건강 관리 측면에서 주목받는 대표 사례로 소개됐다.
고려대 구로병원 조금준 연구부원장(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장)은 "AI 기술이 의료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제도, 임상 신뢰라는 세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간담회가 향후 정책 설계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고려대 구로병원이 의료 AI 생태계의 중심 플랫폼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병원은 기업과 협력하며 임상 현장에서 기술의 성능과 실효성을 지속해서 검증 중"이라고 부연했다.
서울시의회 AI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서상열 위원장은 "서울시는 의료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고, 의료 AI를 통해 고령층, 산모, 장애인 등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공공 정책에 AI를 접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조금준 병원 연구부원장(개방형실험실 사업단장), 이민우 부단장, 박상용 운영기획팀장, 허재은 R&D팀장, 서울시의회 AI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서상열 위원장, 구로구의회 방은경 행정기획위원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